3. 결산하기
회계연도 중에 발생한 당기순손익을 파악하고, 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확정하는 절차를 결산이라 합니다. 하기 절차대로 진행하시면 결산이 완료됩니다.
1. 합계잔액시산표 차액 조회하기

STEP 1
합계잔액시산표를 조회합니다.
STEP 2
좌측 하단 대차차액여부를 확인합니다.
대차차액이 있을 경우 메뉴 실행 시 팝업창 또는 대차차액 항목에 반영되며, 상세내역은 좌측 하단의 대차차액을 클릭하여 확인 가능합니다.
2. 결산자료관리

STEP 1
결산하고자 하는 기간을 입력 후 {조회} 클릭합니다.
STEP 2
[집계]버튼을 클릭하여 현시점 기준으로 금액을 최종집계합니다.
STEP 3
결산을 위해 집계된 전표 자료를 바탕으로 기말 재고액과 간단한 기말수정분개를 입력합니다.
** 결산전금액 : 전표에 입력된 자료를 기준으로 집계됩니다.
** 결산반영금액 : 기말재고액 등의 결산분개와 관련된 자료를 직접 입력합니다.
** 결산후금액 : 결산에 반영할 금액을 보여줍니다.

STEP 4
감가상각 : [재무회계>고정자산관리>고정(유형/무형)자산등록] 메뉴의 ’13.당기상각범위액’ 금액이 반영되어 조회 되고 수기 입력도 가능합니다. '결산금액반영' 버튼을 눌러 결산금액에 감가상각금액을 반영해줍니다.
대손상각 : '대손상각비'로 처리할 계정과 '기타 대손상각비'로 처리 할 계정으로 분리하여 집계됩니다. -> 대손율은 기본 1%로 설정되어 있으며, 충당금 잔액과 대손율에 따라 계산된 금액이 추가 설정액에 자동반영됩니다. '대손상각결산반영' 버튼을 눌러 결산반영금액에 감가상각금액을 반영해줍니다. -> {판매비와관리비} 탭을 클릭하면 '4.대손상각비’에 대손상각비 금액이 반영됩니다. -> {영업외비용} 탭을 클릭하면 '2. 기타대손상각비'에 기타대손상각비 금액이 반영됩니다.

STEP 5
[전표발행] 을 클릭하여 결산전표를 발행합니다.

STEP 6
전표발행이 완료되면, 좌측의 약식 손익계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3.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작성하기

STEP 1
연도 입력 후 {조회} 클릭합니다.
STEP 2
[집계]버튼을 클릭하여 현시점 기준 금액을 집계합니다.

STEP 3
집계 버튼을 클릭하면 전기이월잉여금(결손금)과 당기순이익 등이 Ⅰ.미처분이익잉여금에 집계됩니다.
Ⅱ.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으로 치환, Ⅲ.이익잉여금 처분액에 직접 입력할 금액(ex. 배당금, 이익준비금 등)이 있다면 작성합니다. (자동집계가 되지 않는 부분으로, 수기 입력해주어야 합니다.)

STEP 4
[전표추가]를 클릭하여 잉여금(결손금) 대체 전표를 발행합니다.
4. 재무제표 차액 확인하기

STEP 1
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, 합계잔액시산표 등 재무제표의 차액 여부를 전반적으로 다시 확인합니다.
5. 차기이월 진행하기

STEP 1
[조회]를 클릭합니다.
STEP 2
체크박스에 체크하여 이월할 항목을 선택합니다.
STEP 3
[이월시작]을 클릭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차기로 이월합니다.
6. 사업장 회계연도 변경하기

STEP 1
사업장(회사)관리에서 회계연도를 차기로 변경하고 저장합니다.
Last 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