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
현재 시점까지 누적되어 이월된 이익잉여금/결손금과 당기순이익/순손실 처분 내역 나타내는 표입니다.
Last updated
현재 시점까지 누적되어 이월된 이익잉여금/결손금과 당기순이익/순손실 처분 내역 나타내는 표입니다.
Last updated
① 조회 : 기본 회계기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수정도 가능합니다.
② 그리드 : 크게 네 부분 'Ⅰ. 미처리잉여금', 'Ⅱ. 임의적립금', 'Ⅲ. 이익잉여금 처분액', 'Ⅳ.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' 으로 나뉘어 있습니다.
Ⅰ. 미처리잉여금 : 전기이월된 잉여금(결손금)과 전기 오류수정이익(손실), 당기순이익(손실)의 합계입니다. 전기에 이월된 금액과 당기에 발생한 순이익(손실)은 처분대상 금액이 됩니다.
(산출된 금액에 맞게 양수(+)면 미처분이익잉여금, 음수(-)면 미처리결손금이 됩니다. )
Ⅱ.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으로 치환 : 임의적립금 등으로 적립하여 당기에 처분할 금액이 있을 경우 금액을 기재해줍니다.
Ⅲ. 이익잉여금 처분액 : Ⅰ + Ⅱ의 합계액으로, 당기에 이익준비금 혹은 배당금 등으로 처분하고자 할 경우 처분 금액을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.
Ⅳ.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: 전기이월잉여금(결손금) + 당기순이익(손실) + 처분내역의 합계로 차기로 이월될 미처분이익잉여금(결손금) 금액을 의미합니다. 당기의 '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'은 전기의 '전기이월이익잉여금'과 동일한 금액이어야 합니다. 만약 다를 경우 차기이월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것이므로 차기이월 재진행해주셔야 합니다.
③ 집계 : 전표금액이 변경되어 초기화가 필요하거나, 최종 금액을 불러와야 할 경우 클릭하여 새로 금액을 집계해 옵니다.
④ 엑셀 : {엑셀}을 클릭하여 해당 조회기간에 조회된 잉여금처분계산서를 엑셀로 저장 가능합니다.
⑤ 저장 : 추가로 입력된 데이터 및 수정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반드시 {저장}을 클릭하여 저장해주어야 합니다.
⑥ 삭제 : 추가로 입력된 데이터 및 수정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{삭제}를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. 부분 삭제는 되지 않으며 모든 데이터가 일괄로 초기화 됩니다.
⑦ 인쇄 : {인쇄}를 클릭하여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.
⑧ 전표추가 : 이익잉여금 처분 내역을 입력한 후 {전표추가}를 클릭하면 손익대체분개와 잉여금 대체 전표가 생성됩니다.
→ 추가된 전표는 결산기간 종료월 말일자 전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{분개완료}로 표기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