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자료 등록하기
[전기자료등록] 메뉴에서는 각 계정별 잔액 및 거래처별 이월 금액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Last updated
[전기자료등록] 메뉴에서는 각 계정별 잔액 및 거래처별 이월 금액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Last updated
전년도의 재무상태표를 입력하는 메뉴로 재무상태표의 각 계정별 잔액 및 거래처별 이월금액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프로그램 최초 사용 시 등록하는 메뉴로 다음 기수부터는 ‘재무회계차기이월’을 통해 자동으로 이월됩니다.
① 계정별 잔액 : 전기 재무상태표 참고하여 각 계정별 잔액을 입력합니다.
② 계정별 거래처 상세내역
A: ①번에서 입력한 각 계정에 대한 거래처별 관리가 필요한 경우(채권, 채무 등) 해당 계정을 선택 후 {추가}를 클릭하여 하단에 거래처별 상세내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
B : 입력이 완료되면 {저장}을 클릭합니다.
C : 거래처별 내용이 입력된 경우 ①번 화면에 [상세]라고 표시되며 거래처별 잔액은 각 원장의 전기이월 금액으로 표시됩니다.
③ 계정별 합계 : 계정과 금액을 입력하면 약식 재무상태표 확인 가능합니다. → 대차차액이 있을 경우 하단에 빨간색 금액으로 표시되며, 해당 경우는 금액 또는 계정이 잘못 입력된 경우로 자료를 재확인해야 합니다.
④ 추가 / 저장 / 삭제
전년도 손익계산서를 입력하는 메뉴로 각 계정별 금액을 입력합니다.
프로그램 최초 사용 시 등록하는 메뉴로 다음 기수부터는 ‘재무회계차기이월’을 통해 자동으로 이월됩니다.
① 계정별 잔액 : {추가}를 클릭하여 A 영역에전기에 마감된 손익 계정별 잔액을 입력 합니다. → 매출원가 계정(상품, 제품)을 입력하면 ‘매출원가’ 보조 입력 창이 생성되며, 기초재고액 및 당기매입액 등을 입력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이때 기말 재고액은 전기 재무상태표의 각 재고자산 잔액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② 계정별 합계 : 계정과 금액을 입력하면 약식 손익계산서 확인 가능합니다.
③ 저장 : {저장}을 클릭하면 전기손익계산서 작성이 완료됩니다.
④ 삭제 : 삭제하고자 하는 계정을 선택 후 {삭제}를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.
전년도의 원가명세서를 입력하는 메뉴로 각 계정별 금액을 입력합니다.
프로그램 최초 사용 시 등록하는 메뉴로 다음 기수부터는 ‘재무회계차기이월’을 통해 자동으로 이월됩니다.
① 계정별 잔액 : {추가}를 클릭하여 전기에 마감된 원가명세서 계정별 잔액을 입력합니다. → 재료비 계정(원재료비, 부재료비)을 입력하면 ‘재료비’ 보조 입력 창이 생성되며, 기초재고액 및 당기매입액 등을 입력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** 이때 기말 재고액은 전기 재무상태표의 각 재고자산 잔액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 재료비가 입력되면 {상세} 항목에 재료비 아이콘이 생성되고 이를 클릭하면 상세내용 확인이가능합니다.
② 계정별 합계 : 계정과 금액을 입력하면 약식 원가명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③ 저장 : {저장}을 클릭하면 전기원가명세서 작성이 완료됩니다.
④ 삭제 : {삭제}를 클릭하여 삭제가 가능합니다. (부분삭제는 되지 않고 일괄삭제 진행됩니다.)
⑤ 원가설정 : 매출원가 및 관련 경비구분과 명세서 구분 설정이 가능합니다.
전년도의 잉여금처분 또는 결손금 처리 내역을 입력하는 메뉴로 각 항목 별 금액을 입력합니다.
프로그램 최초 사용 시 등록하는 메뉴로 다음 기수부터는 ‘재무회계차기이월’을 통해 자동으로 이월됩니다.
① 기본으로 입력할 항목이 설정되어 있어 금액만을 입력하여 저장합니다. → 금액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입력하고 결손금일 경우 마이너스(-) 금액으로 입력합니다. → 상단 + 버튼을 클릭하여 추가 입력이 가능합니다.
② 불러오기 : 전기손익계산서의 내용이 변동되어 전기 당기순이익이 변경된 경우 {불러오기}를 클릭하면 전기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을 반영한 금액이 다시 불러와집니다.
③ 저장 : {저장}을 클릭하면 전기잉여금처분계산서 작성이 완료/저장됩니다.
④ 삭제 : {삭제}를 클릭하여 삭제 가능합니다. (부분삭제는 되지 않고 일괄삭제 진행됩니다. 삭제 이후 {불러오기} 버튼을 눌러 금액을 재집계하여야 합니다.)